처음 자취를 시작했을 땐 돈이 어디로 새는지 몰랐습니다.
카페 한 번, 배달 한 번, 편의점 한 번…
쓸 때는 별거 아닌데, 월말만 되면 통장이 텅 비어 있더라고요.

그래서 어느 날부터 ‘한 달 예산 루틴’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.
거창하진 않지만, 이 루틴 덕분에 돈에 대한 스트레스가 확 줄었습니다.

 

돈 사진
자취생을 위한 ‘한 달 예산 루틴’ 만들기 – 월급 안 새는 법

 

1. 고정비 먼저 체크하기

예산 짤 때 가장 먼저 하는 건 고정비 정리입니다.
매달 무조건 나가는 돈이죠.

  • 월세: 50만원
  • 관리비+인터넷: 8만원
  • 핸드폰 요금: 4만원
  • OTT/음악 구독료: 1만원

→ 총 63만원

고정비는 매달 비슷하게 나가니까,
이걸 먼저 빼두면 ‘쓸 수 있는 금액’이 더 명확해집니다.

2. 생활비는 카테고리별로 나누기

다음은 한 달 생활비를 항목별로 나눕니다.
이건 사람마다 다르지만, 저는 이렇게 나눴어요:

  • 식비: 20만원
  • 교통비: 6만원
  • 카페/외식: 5만원
  • 장보기/생필품: 7만원
  • 기타: 2만원

→ 총 40만원

여기서 중요한 건 ‘작은 금액’도 대충 넘기지 않는 거예요.
편의점 커피 1800원, 앱 내 결제 2500원… 이런 작은 소비들이 쌓여서 결국 큰 금액이 됩니다.
말 그대로, “티끌 모아 태산”입니다.
큰돈보다 1000원, 2000원이 더 무섭다고 느껴진 적이 있다면
지금이 소비 구조를 나눠볼 타이밍입니다.

중요한 건 너무 촘촘하지 않게,
나한테 맞는 기준으로 대충 카테고리를 정하는 것이에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