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일상

하루 10분 독서 습관 만들기: 자취생 독서 루틴

by travelnjoy 2025. 7. 16.
반응형

독서 습관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, 누구나 한 번쯤 해보셨을 겁니다.
하지만 현실은 바쁘고, 책상 앞에 앉을 시간조차 여유롭지 않죠.

저도 그런 사람이었습니다.
매달 '이 책 읽어야지' 다짐만 하고, 한 달이 훌쩍 지나가는 일이 반복됐습니다.
그러다 포기하지 않고 ‘딱 하루 10분’만 책을 읽는 루틴을 시작했습니다.
그 작은 실천이 오히려 독서를 일상으로 만들어주더군요.

 

책
하루 10분 독서 습관 만들기: 자취생 독서 루틴

 

1. 책은 '읽을 수 있는 곳'에 둔다

책장을 장식처럼만 쓰면 책은 절대 안 펼쳐집니다.
가장 효과적이었던 건, 책을 생활 동선 안으로 옮기는 것이었습니다.

  • 침대 옆: 잠들기 전 5분
  • 주방 테이블 위: 아침 식사 중 5분
  • 화장실 근처: 잠깐의 여유 시간

책을 가까이에 두는 것만으로도, 책을 펴는 확률이 훨씬 높아졌습니다.

2. 시간보다 ‘행동’에 붙이기

“매일 저녁 10시에 책 읽기”는 이상적이지만 지키기 어렵습니다.
대신 기존 루틴에 자연스럽게 ‘붙이는’ 방식이 효과적이었습니다.

  • 핸드폰 알람을 끄자마자 → 책 2페이지 읽기
  • 밥 다 먹은 후 → 식탁에 앉아 책 5분
  • 양치 끝내고 → 책 펼치기

시간보다 행동을 기준으로 독서를 정하면, 매일 흐름을 끊지 않고 이어갈 수 있습니다.

3. 분량 목표는 절대 세우지 않는다

“하루 10페이지씩!” 같은 목표는 오히려 압박이 됩니다.
저는 ‘시간’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. 딱 10분만.

페이지가 아닌 행동 시간을 정하면
피곤한 날에도 “딱 10분만 하자”는 마음이 생기고,
결국 10분이 20분이 되는 날도 많아집니다.

4. 기록은 최소한으로, 만족감은 최대한으로

읽은 내용을 기록하려다 독서 자체가 버거워질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저는 아래처럼 간단한 방식만 사용합니다.

  • 책 표지 사진 + 읽은 날짜
  • 오늘 인상 깊은 문장 한 줄

기록은 ‘보상’처럼 작용합니다.
나중에 쌓인 리스트를 보면, 꾸준히 읽은 나 자신에게 스스로 칭찬하게 됩니다.

부담 없는 습관이 결국 독서량을 만든다

많은 사람들이 독서를 실패하는 이유는
처음부터 ‘많이’ 읽으려 하기 때문입니다.

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'매일' 읽는 것입니다.
하루 10분, 한두 페이지라도 꾸준히 읽는 습관이
책과 가까워지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.

독서가 ‘결심’이 아닌 ‘습관’이 되는 순간,
읽고 싶은 책은 자연스럽게 늘어날 거예요.

반응형